고들빼기 8종과 씀바귀 비교 영상 – 2019.03.06 ­

​블로그 포스트를 여지껏 구 버전 2.0에디터를 사용하다가 버벅거려할 수 없이 새로운 스마트에디터ONE이라는 것을 오늘 처음 사용하는데이것도 기능을 익혀야 그나마 포스트라도 올릴 수 있어 배워야 될 듯합니다.

하루 다르게 변화하니 따라가기도 좀 부담되네요~?^^​

>

이제,,봄 기운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여담으로,, ​봄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지만,,글 쓰는 잔대는,,봄이 되면 몸에 민감한 변화가 시작되는데,그것은 바로 기온보다 더 높게 느껴지는 몸 온도.​나이들면서 몸에 열도 식을 줄 알았는데,,더운 체질은 그대로여서몸뚱이 엔진?이 열 때문에 부조화 현상이 체감되기 시작입니다.

벌써 가을 찬 바람까지 여름 통과가 지레 걱정스러워 집니다.

>

​한방 이론에 다양한 체질 분류는 그리 와닿지는 않지만,사람의 체질을 찬 체질과 더운 체질로 나누는 것은이론에 앞선 경험으로 꼬맹이 시절부터 친구들과 비교되며 자연스레 알 수 있고 몸으로 때우다보니 맞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론적인 것은 무시하고,,찬 체질과 더운 체질을 분별하는 방법으로는 평소에찬 물을 마시는가,,더운 물을 마시는가를 보면 맞는 듯합니다.

불균형으로 허열 있는 사람은 더워도 찬물은 별로 안마시고,원래 더운 체질은 한기를 느끼면서도 뜨거운 물은 별로 안마시니까요.​

>

​이렇듯 몸이 추워도 더워도 부조화로 느껴지는 것은몸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항상성 때문이고,이제 시작되는 봄나물은 이런 부조화를 바로 잡아주는 묘약이라는 것이 경험입니다.

​그 경험이라는 것은 아주 단순해서,,봄철에는 의식적으로 기회될 때마다 봄나물을 충분히 먹어두면 체감되는 변화를 느끼는 것이 한 두해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항상성은 높은 것은 깍여지고, 낮은 곳은 메꾸어져평지가 되려는 성질이 있는데,봄나물이나 제철 음식은 많은 것은 덜어내고, 부족한 곳은 채워주는 효능이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자동 조절 효능도 있는 불로초+명약 아니겠습니까~?^^​

>

>

​적당한 단맛이나 매운맛과 조화를 이루는 쓴맛의 나물은 다른 나물보다 더 각별히 여겨지는데,특히, 봄에 열로 몸이 스멀~거리기 시작할 때 고들빼기나 민들레 같은 나물을 먹으면 열이 조절되면서 스멀거림이 완화되는 경험은 이제 익숙해져 있습니다.

여기에 말굽버섯이나 상황버섯차 정도를 곁들여 먹으면더욱 약처럼 느껴집니다.

>

용설채는 고들빼기 일종으로 재배되는 작물이 야생에 퍼지고,야생에 적응하면서 재배와는 다른 모습을 갖추어아주 헷갈리는 식물로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미국등골나물이 빠르게 퍼지던 초창기에영아자나다른 나물로 헷갈렸던 것과 비슷한 양상입니다.

>

>

씀바귀도 어떤 사람에게는 음식보다 약으로 작용하는경우도 많은 봄나물입니다.

다양한 봄나물을 봄철 찾아 먹다보면 자신에게 맞게 느껴지는 나물도 대충 몇 가지는 분류해 낼 수 있습니다.

>

봄나물은 쑥, 산부추,달래 등 몇가지를 제외하고는찬 성질도 많아 몸이 아주 찬 사람들은 경험적으로 나물을달갑지 않게 여기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된장보다 고추장 무침이 좋고, 마늘이나 고춧가루를사용하면 좀 더 낫게 느껴지고,소화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요리된 나물을 잘게 썰어 먹는 것이 훨씬 도움됩니다.

오늘 포스트를 등록하기 위해 유튜브로 링크를 걸러 갔더니현재시간 구독자 1,035명시청시간 66.6만분(11,100시간)​이로서 지난 1.10일 이래 시청시간 4,000시간과 구독자 1,000명은 달성 되었습니다.

​확실히 유튜브는 다른 플랫폼보다 역동적이고소통에는 더 좋게 느껴집니다.

글이 아닌 영상이라 좀 더 직감적인 시각적 전달이 가능해서영상의 테크닉보다는 콘텐츠의 재미나 정보가우선적인 가치로 평가 되는 듯합니다.

​정말 아직 허접스러운데도 구독해 주신 이웃분들과 구독자분들께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https://youtu.be/049PjOBaTkc

Leave a Comment